실습-09 안테나(Horn Antenna)

 

안테나는 파이프 형태의 도파관 종단 개구(aperture) 면적을 확장하여 안테나의 지향도(이득) 증가시킨 것이다. 구조가 단순하며 광대역 특성을 가지므로 표준 이득 안테나, 반사경 안테나 피드(급전부)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안테나의 기본형으로 사각뿔 (pyramidal horn) 원뿔 (conical horn) 있다.

 

안테나의 방사패턴은 개구 전기장의 적분으로 표현된다. 안테나 개구 전기장 분포는 급전 도파관 단면의 전기장 분포와 크기가 같으며, 개구 중심에서 멀어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여 위상이 감소하는 것으로 근사화할 있다. 

 

안테나의 길이가 주어진 경우 개구면 크기를 증가시키면 이득이 증가하여 최대값에 도달한 감소하며 이득이 최대가 되는 크기의 개구를 가지는 경우를 최적이득 (optimum gain horn) 안테나라 한다.

 

도파관 종단 개구 안테나도 경사각이 0 안테나로 취급할 있다. 기본적인 사각뿔 , 원뿔 외에 대형 반사경 안테나 피드로 사용되는 주름 (corrugated horn), 협대역 고성능 피드로 사용되는 다중모드(multi-mode) , 추적 안테나용 모노펄스(monopulse) , 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TEM ,  2 리지(ridge) , 4 리지 , 여러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다중대역(multi-band) 등이 있다.

 

I. 실습

1. 최적 이득 피라미드 설계

설계규격

- 치수 기호: 아래 이론 부분 참조

- 입력 도파관: WR-90, a = 22.86mm, b = 10.16mm, 길이 50mm (참고: 차단 주파수 6.56GHz, 사용 주파수 8.2-12.4GHz

- 설계 주파수: 10GHz

- 이득: 20dBi

설계결과

     

     

    : 개구

    : 부분 길이

    : 개구 높이

   

     : 금속 두께

 

실습

1) 형상 생성: 도파관 = z , 전계면 = y (협벽과 평행)

2) 반사계수: Cartesian, -40dB to 0dB, 7-14GHz

3) 이득패턴: Ludwig 3 polarization definition 사용

    전계면 이득패턴: Gco-pol, phi = 90º, -40dB to 20dB, -180º to +180º; 적색

    자계면 이득패턴: Gco-pol, phi = 0º, -40dB to 20dB, -180º to +180º ; 녹색

    교차편파 이득패턴: Gcross-pol, phi = 45º, -40dB to 20dB, -180º to +180º; 청색

3 그래프를 Cartesian으로 동시에 그래프에 도시

 

2. 최적 이득 원뿔 안테나 설계

설계 규격

- 입력 도파관: WC-94, 직경 23.83mm (참고: 차단 주파수 7.37GHz (), 사용 주파수 8.6-11.6GHz)

- 설계 주파수: 10GHz

- 이득: 15dBi

설계 결과

     

     

    : 개구 직경

    : 원뿔 길이

    : 원뿔 각도

    : 부분 길이

 

     : 금속 두께

 

실습

1) 형상 생성: 도파관 = z , 전계면 = y (TE11 모드 설정 결정)

2) 반사계수: Cartesian, -40dB to 0dB, 7-14GHz

3) 이득패턴: Ludwig 3 polarization definition 사용

    전계면 이득패턴: Gco-pol, phi = 90º, -40dB to 20dB, -180º to +180º; 적색

    자계면 이득패턴: Gco-pol, phi = 0º, -40dB to 20dB, -180º to +180º ; 녹색

    교차편파 이득패턴: Gcross-pol, phi = 45º, -40dB to 20dB, -180º to +180º; 청색

3 그래프를 Cartesian으로 동시에 그래프에 도시

 

II. 이론

1. 개구(Aperture) 안테나 방사패턴 계산

1) 일반적인 개구 안테나 방사패턴

: 개구면 전기장, 자기장의 접선 성분

: 개구면에서 방사 방향으로 향하는 수직방향 단위 벡터

 

 

 

 

Aperture without ground plane

 

 

 

 

 

 

 

 

 

 

2) 도파관 개구 안테나 방사패턴

 

: 입사 전기장 벡터 개구면 접선 성분

  

 

 

 

 

 

 

  

 

1. 사각형 안테나(Rectangular Horn Antenna)

사각형 안테나는 다른 안테나 이득 측정 시에 사용되는 표준이득 안테나로 사용된다.

 

2. 사각 도파관(Rectangular Waveguide)

사각 도파관은 피라미드 안테나를 급전하는 데에 사용된다. 흔히 동축선을 이용하여 사각 도파관과 송수신기를 연결하며 경우 동축선과 사각 도파관 변환부(transition) (어댑터라고도 ) 사용한다.

 

http://examcrazy.com/Engineering/Electronics-Communication/images/TEM_TE_and_TM_Modes_for_Waveguides/image002.gif 

           (a)                                                    (b)

그림: 사각 도파관. (a) 구조 치수(a = 광벽폭, b = 협벽폭, t = 금속 벽두께), (b) 단면 전기장 분포

 

사각 도파관의 지배모드(dominant mode)

- 주어진 전송선에서 차단 주파수가 가장 낮은 모드

- TE10 모드이다. TE10 모드의 전기장의 방향은 측벽에 평행하며( 그림에서 수직방향), 크기 분포는 sine 함수 모양을 따른다.

   

TE10 모드의 전기장

 

 : 전파상수

: 관내 파장

 

 : 차단 파장

 : z 방향 파동 임피던스

 

사각 도파관 규격

- 사각 도파관의 크기는 국제 표준 규격으로 규정

- 사각 도파관 사용 주파수 범위:

 

3. 사각 도파관 종단 방사기(Rectangular Waveguide Open-End Radiator)

약칭: OEG(open-ended guide)

사각 도파관 종단 방사기의 용도

- 안테나 근접장(near-field) 측정: 안테나 개구에서 4파장 떨어진 위치에서 1/2파장 간격으로 OEG 사용하여 개구의

- 전기장 분포를 측정하고 이를 푸리에 변환하여 원거리 이득패턴을 구함.

- 배열 안테나의 방사소자

- 물질 유전율 측정: OEG 물질 표면에 접촉시키고 반사계수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물질의 유전율 산출

- 표준 이득 안테나: 500MHz 이하 대역

- 정확한 크기의 전기장 생성: OEG 이득과 개구 반사계수를 정확하게 알고 있으므로 OEG 개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전기장 세기 산출 가능

 

http://www.emcsky.com/en/npic/2008121112116847.jpg  http://www.emcsky.com/en/npic/200812111230253.jpg

그림: 안테나 근접장 측정용 OEG probe [Satimo]

 

사각 도파관 개구 방사패턴

- TE10 모드에 의해 급전되는 사각 도파관 개구

 

 

 

   

- 예시 1: WR-90 도파관 개구                        

    a = 90/100 inch = 22.86mm, b = 40/100 inch = 10.16mm, t = 1.27mm (wall thickness)

 

   

                (a)                                 (b)

그림: 10.368GHz에서 WR-90 개구의 방사패턴. (a) 크기, (b) 위상(위상중심 = 개구면 중심) [Wade]

 

  

              (a)                                  (b)

그림: 9.32GHz에서 WR-90 개구의 방사패턴. (a) 전계면, (b) 자계면

 

 https://www.fairviewmicrowave.com/images/Product/medium/SMF90S-03.jpg   Quality Microwave Components

             (a)                       (b) 

그림: (a) 플레인지가 있는 WR-90 도파관[Fair View Microwave], (b) 플레인지 치수(UG39/U flange: A = 41.40mm, D = 32.51mm, E = 30.99mm, F = 4.29mm, 두께 = 4.06mm)          

 

   

               (a)                             (b)

그림: UG39/U 플레인지가 있는 WR-90 개구면 방사패턴(f = 10.368GHz). (a) 크기, (b) 위상(위상중심은 개구면 중심) [Wade]

 

그림:  WR-42 도파관 개구 이득. a = 10.67mm, b = 4.32mm, t = 1.02mm, L = 106.7mm [Enkhbayar(2009, Electron. Lett.)]

 

그림: WR-42 도파관 개구 반사계수. a = 10.67mm, b = 4.32mm, t = 1.02mm, L = 106.7mm [Kim(2010, PIER M)]

 

2) 섹터 안테나 (Sector Horn Antenna)

- 사각 도파관의 또는 높이 만을 확장시킨 안테나를 섹터 안테나라 한다.

- 섹터 안테나는 피라미드 안테나를 이해하는 기초가 된다.

 

2.1) 자계면 섹터 안테나 (E-plane Sectoral Horn Antenna)

http://www.atmmicrowave.com/wp-content/uploads/sectoral_h.jpg

그림: 자계면 섹터 안테나 [ATM Microwave]

 

구조

- 사각 도파관의 폭을 확장

 

                (a)                                (b)

그림: H-plane sectoral horn. (a) 구조, (b) 설계변수 [Stutzman].

 

- 개구면 위상오차 패러미터

 

 

 

개구면 전기장

 

 

 

원거리 전기장

: aperture integral

 

 

 

 

- 정규화한 방사패턴

 : normalized E-plane pattern

 

그림: H-plane sectoral horn 방사패턴 [Stutzman]

 

지향도

 

 : taper efficiency due to cosine distribution

 : 자계면 방향 위상 오차에 따른 효율

 

그림: 개구면 위상 오차에 따른 위상오차 효율[Stutzman]

 

 

그림: H-plane sectoral horn 지향도 [Stutzman]

 

- 그래프에 의하면 개구면 A 증가하면 지향도가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한다.

- A 너무 커지면 위상 오차가 과다하여 지향도가 오히려 감소한다.

 

최적 이득 자계면 섹터 안테나 설계

 : 최적 이득 조건

 

 

 

2.2) 전계면 섹터 안테나 (E-plane Sectoral Horn Antenna)

http://www.atmmicrowave.com/wp-content/uploads/sectoral_e.jpg

그림: 전계면 섹터 안테나 [ATM Microwave]

 

구조

- 사각 도파관의 개구면을 전기장 방향 확장

 

 

그림: 전계면 섹터 안테나 구조 설계변수

 

- 개구면 위상 오차 패러미터

 

 

 

- 개구면 전기장

 

 

 

- 원거리 전기장

: aperture integral

 

 

 : normalized E-plane pattern

 

 

그림: E-plane sectoral horn 방사패턴 [Stutzman]

 

지향도

 

 : taper efficiency due to cosine distribution

 

그림: 개구면 위상 오차에 따른 위상오차 효율[Stutzman]

 

그림: E-plane sectoral horn 지향도

 

- 그래프에 의하면 개구면 B 증가하면 지향도가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한다.

- B 너무 커지면 위상 오차가 과다하여 지향도가 오히려 감소한다.


최적 이득 전계면 섹터 안테나 설계

 : 최적 이득 조건

 

 

 

4) 피라미드 안테나

 

http://www.ahsystems.com/catalog/images/SAS-584S1.jpg

그림: 피라미드 안테나. A.H. Systems SAS-584, 5.85-8.20GHz

 

피라미드 안테나의 구조

- 피라미드 안테나는 아래 그림과 같이 사각 도파관의 개구면을 피라미드 형태로 확장하여 이득을 증가시킨 것이다.

그림: 피라미드 혼의 구조

 

- 전계면: yz 평면. 개구면 상의 전기장 y 방향

- 자계면: zx 평면. 개구면 상의 자기장 x 방향

- 급전 도파관 크기:  

- 개구면 크기:  

- 부분 길이:  

 

피라미드 안테나 개구면 분포

- 개구면 전기장은 피라미드의 꼭지점에서 방사되는 구면파에 의한 것으로 근사

- 벽의 금속면에서 전기장이 경계조건(전기장의 도체면 접선성분 0) 만족

- 결과 개구면 상의 전기장은 사각 도파관의 TE10 모드처럼 x 방향으로 sine 함수 분포를 가지며 개구면 중심에서의 거리의 제곱에 비례하여 위상 감소하는 특성을 보인다.

 

: 개구면에서의 전기장

: 개구면에서의 전기장 크기 분포

 

: 개구면에서의 전기장 위상분포

: 개구면의 자계면 최대 위상오차를 2π 정규화한(나눈)

 : 최적이득 혼의 경우

: 개구면의 자계면 최대 위상오차를 2π 정규화한(나눈)

 : 최적이득 혼의 경우

 

(참고) 급전 도파관 전기장 진폭과 피라미드 개구면 전기장 진폭

 : 급전 도파관의 입구에서의 전기장

 : 급전전력

 

: 개구면에서 방사되는 전력

 : 에너지 보존법칙

 

 : 입사 전기장이 부분을 진행하면서 겪는 위상 지연

: 부분에서의 지연된 위상값

 

- 개구면 분포에 따라 피라미드 안테나의 이득 패턴이 결정된다. 수학적으로는 개구면 상의 전기장을 등가 방사전류로 취급하여 이를 적분하여 원거리 전기장을 구한다.

 

- 아래 그림은 피라미드 안테나로부터 전파가 방사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동일한 색상의 점은  위상이 같다. 개구면 상의 동일 위상면 구면과 유사하다.

 

그림: 피라미드 안테나에서의 전자파 방사 [Qi(2014, Sci. Rep.)]

 

피라미드 안테나의 이득

 : 피라미드 지향도

 

er : 방사효율

 

- 방사효율은 안테나 내부에서의 전력소모에 의해 결정된다. 피라미드 안테나의 경우 안테나 내부에서의 전력 손실은 무시할 정도로 작다.

 

 : 피라미드 혼의 이득

 : 피라미드 혼의 개구효율(aperture efficiency)

 

et : 개구면 전기장 크기 오차에 의한 효율(aperture taper efficiency). 개구면 전기장의 크기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 효율이 1보다 작다.

eE : 개구면 전기장 위상 오차에 의한 효율. 전계면 상의 위상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 효율이 1보다 작다.

eH : 개구면 전기장 위상 오차에 의한 효율. 자계면 상의 위상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 효율이 1보다 작다.

 

그림: 개구면 위상 오차에 따른 위상오차 효율[Stutzman]

 

위상 중심(phase center)

- 원거리 전기장(자기장) 위상을 위상 중심 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상에서 관측할 경우 이득 최대 각도로부터 이득이 10dB 감소하는 각도까지 위상이 가능한 일정하게 되는 점을 위상 중심이라 한다.

- 전계면/자계면 위상 중심: 전계면/자계면에서의 원거리 전기장을 기준으로 위상 중심 

 

: 피라미드 안테나의 위상 중심. 개구면에서 입력 도파관 쪽으로의 거리[Milligan]

 

 

최적 이득 안테나 (optimum gain horn antenna)

- 혼의 길이 R 고정시키고 개구면 크기 A B 증가시키면 이득이 이에 따라 증가하다가 일정 이상에서는 개구면 전기장의 위상 오차가 과다하여 이득이 감소한다. 이득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경우를 최적이득 안테나라 한다.

 

 : 개구면 전기장 분포의 비균일성에 의한 효율 감소. cosine taper 경우 0.81

 : 개구면에서 전계면 방향으로의 위상 비균일성에 의한 효율 감소. 최적이득 안테나의 경우 0.785

 : 개구면에서 자계면 방향으로의 위상 비균일성에 의한 효율 감소. 최적이득 안테나의 경우 0.77

 

 : 최적이득 혼의 이득

 : 최적이득 혼의 개구효율

 

- 최적이득 피라미드 설계

 

 : 근사식

 : 정확한 [Guney(2003)]

 

 

 

 

 

 

 

 : 근사식

 [Milligan]

 

- 동일한 3-dB 빔폭을 위한 A B 비율 [Milligan]

     

     

- 동일한 10-dB  빔폭을 얻기 위한 A B 비율 [Milligan]

     

 

- 설계 1: WR-90 도파관으로 급전되는 이득 21.75dB 피라미드 설계. 주파수 8.75GHz

 

 

 

 

 

 

그림: 8.75GHz 21.7dB 이득 피리미드 방사패턴

 

 

 

- 설계 2:

  

                        (a)                                                   (b)

그림: WR-75(a=19.05mm, b=9.525mm) 급전되는 11.70GHz 최적이득 안테나 이득패턴. (a) 16dB 이득 설계(A=71.12, B=54.68, R=47.17mm), (b) 20dB 이득 설계(A=112.60mm, B=88.70mm, R=137.03mm) [Balanis, Antenna Handbook]

 

- 설계 3: 최적이득 설계. a=22.86mm, b=10.16mm, A=156mm, B=118mm, R=286mm, 10GHz에서 22dB 이득

 

                              (a)

 

                              (b)

그림: 안테나의 주파수 특성. (a) 이득, (b) VSWR [Hufnagel(2012, Thesis)]

 

- 설계 3: 20dB 이득 피라미드 . 전계면 빔폭과 자계면 빔폭이 동일한 설계

    WR-90 (a=22.86mm , b=10.16mm) input, A=135.4mm, B=105.8mm, R=169mm, 주파수 10GHz

 

                           (a)

 

                              (b)

 

                             (c)

그림: 대칭 빔폭 20dB 피라미드 안테나 특성(10GHz). (a) 방사패턴, (b) 입력 반사계수, (c) 개구면 전기장 분포[del Río Bocio]

 

피라미드 혼의 주파수 특성

- 주파수가 증가하면 지향도가 증가. 주파수 증가에 따라 위상오차가 증가하여 지향도가 포화됨.

 

그림: 8.75GHz에서 최적이득을 가지는 피라미드 혼의 주파수에 따른 지향도.

 

2. 원뿔 안테나 설계

 

원뿔 안테나의 고급 형태는 대형 반사경 안테나의 피드(급전 안테나)로서 사용된다.

 

1) 원형 도파관

 

http://www.miwv.com/wp-content/uploads/2013/06/370.jpg

그림: 원형 도파관 [MI-WAVE]

 

원뿔 안테나는 원형 도파관으로 급전된다. 원형 도파관 개구부는 전방급전(prime focus) 반사경 안테나의 피드(급전부)로서 사용된다.

 

구조

 

그림: 원형 도파관 구조 좌표계

 

TE11 mode 전기장 벡터

 

 

 

관련 이미지 

그림: 원형 도파관 단면 상의 TE11 모드 분포

 

원형 도파관 안테나 설계 사례

주파수 14GHz, 원형 도파관 내경 20.53mm (0.96λ), 두께 1mm (0.047λ), 길이 60mm (2.8λ)

                   (a)

EMB00002e9cba3bEMB00002e9cba3e

                     (b)                                     (c)

그림: 원형 도파관 개구면 특성. (a) 반사계수, (b) 이득패턴, (c) 위상패턴. 전계면 패턴: 적색, 자계면 패턴: 녹색, 교차편파 이득(45º ): 청색

 

2) 원뿔 안테나

그림: 원뿔 안테나 [MI-WAVE]

 

구조

원뿔 안테나는 원형 도파관의 개구면을 원뿔 모양으로 확장한 것이다.

 

그림: 원뿔 안테나 구조 [Chiang(2014, AIP)] 설계변수

 

개구면 전기장

 

 

 : 360º 정규화한 개구면 최대 위상 오차

 

                             (a)

                            (b)

그림: 원뿔 안테나 방사패턴 그래프. (a) 전계면 자계면, (b) 45º

 

위상중심(phase center)

: 원뿔 안테나의 위상중심. 개구면으로부터 입력 도파관 쪽으로의 거리[Milligan]

 

 

빔폭

: 원뿔 안테나의 빔폭

 

최적이득 원뿔 안테나

 

 

 

 

 : horn flare angle

 : horn length

 

 

 

 

 

그림: 원뿔 안테나 크기에 따른 이득[King(1950, IRE)]

 

그림: 최적이득 원뿔 안테나 설계 그래프[King(1950, IRE)]

 

원뿔 안테나 설계 사례

- 설계 사례 1: 주파수 10GHz, 입력 도파관 직경 23.83mm, 2a = dm = 135mm, l = 202.6mm, L = 158mm, α0 = 19.5º

 

                    (a)

                     (b)

                     (c)

그림: 20dB 이득 원뿔 안테나 특성. (a) 이득패턴, (b) 반사계수, (c) 개구면 전기장 분포 [del Río Bocio]

 

- 설계 사례 2: 24GHz, 입력 도파관 내경 8.33mm, 2a = 40mm, 부분 직선길이 = 80mm

 

 

그림: 24GHz 원뿔 안테나 이득 패턴(전계면 ) [Chiang(2014, AIP)].

 

III. 연습 문제

1. 최적 이득 피라미드 안테나 설계

입력 도파관: WR-75 (치수 인터넷에서 구하라)

동작 주파수: 11GHz

이득: 23dB

 

2. 최적 이득 원뿔 안테나 설계

입력 도파관: WC-385 (치수 인터넷에서 구하라)

동작 주파수: 2.4GHz

이득: 17dB

 

 

III. 안테나 응용 사례

 

side view of  GBGT  GBT Gregorian and feed/receiver cabin  

              (a)                              (b)

Photo looking down on GBT feed horns  http://www.astro.umd.edu/~harris/kaband/gbtfeeds_0410_s.jpg

              (c)

그림: 미국국립전파천문대 GBT 망원경. (a) 직경 100m 반사경 안테나, (b) 피드와 그레고리언 부반사경, (c) 피드

 

https://hackadaycom.files.wordpress.com/2017/06/hogg_horn_antennas.jpg?w=294&h=400

그림: 마이크로파 통신 링크용 horn reflector 안테나

 

http://www.naapo.org/W8JK/Images/BigEar-l.jpg 

                     (a)

 http://www.bigear.org/Wow30th/Doc130-3al.jpg

                      (b)

http://naturalimagesgallery.com/space_sky/big_ear.jpg http://gb.fotolibra.com/images/previews/1161131-big-ear-radio-telescope-ohio.jpeg

                                         (c)

그림: 오하이오주립대학 전파망원경 Big Ear. (a) 전경, (b) 구조, (c) 피드 [OSU]

 

https://public.nrao.edu/wp-content/uploads/2013/09/gallery-images-largeCalibration-Horn-1967_large.jpg

그림: 전파천문학용 안테나. Little Big Horn, NRAO, Green Bank 1967, 120' long, 1.4GHz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4/40/Erdfunkstelle_Raisting_2.jpg/800px-Erdfunkstelle_Raisting_2.jpg

그림: 위성통신용 카세그레인 반사경 안테나 피드 [Erdfunkenstelle Raisti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2/20/ASR-9_Radar_Antenna.jpg

그림: 공항관제 레이더 안테나용 피드 [FAA ASR-9 Airport Surveillance Radar]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6/Square_Pair_radar.jpg/800px-Square_Pair_radar.jpg

그림: 반사경 안테나 급전용 대각

 

http://www.wtec.org/loyola/satcom/f2_22.gif

그림: 위성탑재 다중 반사경 안테나 급전용 (Ka-대역)

 

http://www.militaryaerospace.com/content/dam/mae/online-articles/2014/04/DARPA%20ACT%204%20April%202014.jpg  http://static1.1.sqspcdn.com/static/f/635226/24280060/1390939803687/IMG_3063.JPG?token=X6nV%2BtF3nGa8RXVs%2BHh3wUhF4cM%3D http://ara-inc.com/wp-content/uploads/sites/1/nggallery/rf-feeds-for-reflector-antennas/thumbs/thumbs_Phased-array-Box-horn-array.PNG

             (a)                        (b)                      (c)

그림: 배열 안테나. (a) DARPA ACT(Arrays at Commercial Timescale), (b) 표면 일체형, (c) 평면형

 

http://chicagotonight.wttw.com/sites/default/files/styles/full/public/article/image-non-gallery/large.jpg SPTpol Focal Plane Array small.jpg

                (a)                                     (b)

그림: (a) South Pole Telescope (SPT) horn array, (b) Focal plane array. Center 150GHz, outer 90GH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