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테나 설계
L07 - 야기 안테나 (Yagi Antenna)
I. 이론
1. 야기 안테나 개요
ㅇ Yagi-Uda
안테나라고도 함.
ㅇ 1926년 동경제국대학의 Shintaro Uda 교수에 의해 발명되고 Yagi에 의해 영문으로 발표됨.
ㅇ 구조가 단순한 5-18 dBi
이득의 안테나
ㅇ 야기 안테나의 특성 항목: 이득, 빔폭, 전후방비, 대역폭
ㅇ 야기 안테나 용도
- HF 대역 아마추어 무선 (beam 안테나라고도 함)
- VHF/UHF 대역 지상파 TV 수신용 (91XG가 가장 유명)
ㅇ 야기 안테나 변형
- 기본형을 중심으로 광대역, 다중대역, 이중편파, 원편파, 배열 형식 등 변형된 형태 사용
- 지향기를 코너/평면 반사기로 변형
- 광대역 특성을 얻기 위해 급전기와 지향기의 형상 변형
- 3 GHz 이하에서는 도선을 이용하여 구현하기에 적합
- 1 GHz 이상에서는 인쇄형으로 구현하기에 적합
- 기본 소자로서 다이폴이 아닌 루프, 모노폴, 패치 등을 사용
2. 야기 안테나의 구조
그림: 야기 안테나 구조 [Wikipedia]
ㅇ 급전기 (driven element): 다이폴 1 개로 급전. 반파장 다이폴길이 약 0.46 파장, folded dipole (종이 클립형 다이폴), bowtie 안테나 사용. 반사기와 지향기의 영향으로 혼자 동작할 때에 비해 공진저항이 감소한다.
ㅇ 반사기 (reflector): 급전기 뒤에 급전기보다 5% 긴 도선. 중간이 끊기지 않고 연결된 도선. 1개 도선(길이 약 0.48 파장) 또는 코너 반사기(wire 길이 0.6 파장) 형태
ㅇ 지향기 (directors): 급전기 앞에 급전기보다 약 5% 잛은 연결된 도선. 갯수에 따라 이득 증가. 갯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득 포화, 길이 약 0.40 파장
ㅇ 반사기와 급전기 간격: 약 0.20 파장
ㅇ 급전기와 지향기 간격: 0.075-0.40 파장 (설계에 따라 다름). 균일 간격 또는 비균일 간격 적용
ㅇ 지지대(boom)의 영향: 내구성을 위해 금속 사용. 금속 지지대는 야기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가 약간 변하게 함. 지지대가 있을 때 반사기와 지향기 길이 증가
ㅇ 소자와 지지대의 절연: 비절연, 절연 모두 가능
ㅇ 소자 직경: 기계적 강도를 고려하여 설정. 소자 직경에 따라 소자 길이가 약간 달라진다.
ㅇ 기생소자: 지향기와 반사기처럼 직접 급전되지 않고 급전기와의 상호결합 (mutual coupling)에 의해 전류가 유도되는 소자를 기생소자 (parasitic element)라 한다. 급전기에 의해 기생소자에 전류가 적적한 위상으로 유도되어 지향기 방향으로 지향성 있게 방사가 일어난다.
ㅇ 기생소자의 용도
- 이득 증대: 야기 안테나의 경우처럼 소자 간격과 소자 길이를 조정하여 급전소자의 전류와
기생소자의 전류의 방사가 합해져서 이득 증대
- 대역폭 증대: 급전소자 가까이 기생소자를 배치하여 급전소자의 동작 대역폭 증대. 보통 1-3
개 또는 2 개의 기생소자 사용하며 기생소자가 급전소자와는 다른 주파수에 공진하게 대
역폭을 증가시킨다.
- 참고문헌: V. Iyer et al., "Increasing the impedance
bandwidth of dipole with monopole antennas with
parasitic elements", EuCAP, 2016.
2. 야기 안테나 동작원리
1) 배열 안테나
그림: 안테나의 원거리 전기장
계산
- 원점에 있는 소자 A의 원거리 전기장
- 점 B에 있는 소자 B의 원거리 전기장
- 원거리 특정 방향에서 두 배열소자의 전파가 합쳐지려면 그 방향으로 동일위상으로 방사해야 한다.
그림: 2 소자 배열
왼쪽 소자 위상: 0 (radian)
오른쪽 소자 위상: (radian)
2) 야기 안테나 동작원리
ㅇ 급전기+지향기 구조
급전기 전류:
지향기 전류:
- 앞쪽으로는 동일위상으로 전파가 합해짐.
- 뒤쪽으로는 역위상으로 전파가 빼짐
- 임의 각도에서 전기장:
그림: 급전기와 지향기 1 개로 구성된 야기 안테나
그림: 급전기와 지향기에 의한 패턴 형성
- 아래 그림과 같이 지향기와 급전기와의 간격과 지향기의 길이를 적절히 하면 지향기 전류의 위상을 필요한 값이 되게 할 수 있다.
- 위에서 설명한 이론에 의하면 급전기와 지향기 사이의 간격을 1/4 파장으로 하고 지향기 전류 위상이 급전기 전류 위상보다 90º 작게 하면 된다.
- 아래 그림에서 급전기와 지향기 간격이 0.2 λ일 때 지향기 길이기 0.40 λ이면 지향기의 위상이 급전기의 위상보다 약 60° 작게 된다.
그림: 급전 다이폴과 평행한 기생 다이폴의 길이와 간격에 따른 기생 다이폴 전류 위상 [Millian]
- 아래 그림은 급전기와 지향기의 위상차에 의해 전방향으로 전파가 합쳐지고 후방향으로는 빼지는 것을 보인 것이다.
그림: 급전기와 지향기에 의한 패턴 형성 [Wikipedia]
그림: 급전기와 지향기에 의한 방사패턴. 급전기 길이 0.47 λ, 지향기 길이 0.42 λ, 급전기-지향기 간격 0.20 λ, 도선 직경 0.0085 λ. 다이폴 단독 지향도 2.15 dBi가 5.5 dBi로 증가된다 [Stutzman].
ㅇ 반사기+급전기 구조
그림: 급전기와 지향기로 구성된 야기 안테나
반사기 전류:
급전기 전류:
- 앞쪽으로는 동일위상으로 전파가 합쳐짐:
- 뒤쪽으로는 역위상으로 전파가 빼짐:
- 임의 각도에서 전기장:
그림: 급전기와 지향기에 의한 방사패턴. 급전기 길이 0.47λ,
반사기 길이 0.482λ,
급전기-반사기 간격 0.20λ, 도선 직경 0.0085λ.
다이폴 단독 지향도 2.15dBi가 6.4dBi로 증가된다 [Stutzman]
ㅇ 반사기+급전기+지향기 구조
그림: 반사기, 급전기, 지향기로 구성된 야기 안테나
반사기 전류:
급전기 전류:
지향기 전류:
- 앞쪽으로는 동일위상으로 전파가 합쳐짐:
- 뒤쪽으로는 역위상으로 전파가 빼짐:
- 임의 각도에서 전기장:
그림: 반사기+급전기+지향기 구조의 방사패턴. 급전기 길이 0.47 λ, 반사기 길이 0.482 λ, 지향기 길이 0.442 λ 도선간 간격 0.20 λ, 도선 직경 0.0085 λ. 다이폴 단독 지향도 2.15 dBi가 9.6 dBi로 증가된다 [Stutzman].
ㅇ 소자 상의 전류분포
- 반사기가 없고 급전기 1개, 지향기 19개인 경우
그림: 20-소자 야기 안테나 구조, 소자 전류 크기, 소자 전류 위상 [R. W. P. King, G. J. Fikioris, and R. B. Mack, Cylindrical Antennas and Arrays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3. 야기 안테나 설계
1) 야기 안테나 설계방법
ㅇ 인터넷 온라인 설계 프로그램 사용:
K7MEM:
http://www.k7mem.com/Electronic_Notebook/antennas/yagi_vhf.html
ㅇ 인터넷에서 무료 설계 프로그램을 구해서 사용:
Yagi Calculator v.2.6.10 by John Drew (VK5DJ), http://www.vk5dj.com/yagi.html
ㅇ 문헌 상의 설계 그래프와 표 사용
ㅇ 다른 사람의 설계 값 사용: 주파수 변경 → 치수를 주파수에 반비례하여 변경
ㅇ 최적화 설계: 기본 설계 = 기본형, 최적화 설계 = 주어진 길이의 야기 안테나에서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소자간격과 소자길이를 모두 다르게 조정. 기본형보다 이득 1-3 dB 증대
2) 미국 NIST 연구소(구 NBS) 설계 데이터 [P. P. Viezbicke (1976), NBS Tech Note 688]
그림: 반사기+급전기 구조에서 도선간격에 따른 이득 (SR
= 0.15 λ, 도선직경 0.005 λ) [Viezbicke]
그림: 도선간격이 0.15 λ로 균일할 경우 야기 안테나 소자 수에 따른 이득 [Green]
ㅇ VK5DJ 야기 설계 프로그램에 의한 지향기 개수에 따른 이득 (반사기 1개, 급전기 1개, 지향기 가변)
Number of element |
3 |
4 |
5 |
6 |
10 |
14 |
18 |
22 |
24 |
32 |
42 |
Gain (dBi) |
6.9 |
8.6 |
9.9 |
11.0 |
13.9 |
15.7 |
16.9 |
17.9 |
18.2 |
19.4 |
20.4 |
E-plane BW (deg.) |
|
|
|
|
37 |
30.5 |
|
|
24 |
|
|
H-plane BW (deg.) |
|
|
|
|
41 |
33 |
|
|
24.5 |
|
|
표: 야기 안테나 설계치수 (금속 지지대 (boom)이 없는 경우) [Viezbicke]
그림: 도선 직경에 따른 야기 안테나 도선 길이 보정 [Viezbicke]
그림: 금속 지지대 직경에 따른 야기 안테나 도선 길이 보정 [Viezbicke]
3) 기존 설계 데이터
그림: Folded dipole에 의해 급전된 야기 안테나. 최대 이득 12 dBi [Kraus and Marhefka (2010)]
그림: RSGB 야기 안테나 설계. 소자 직경 4 mm [Cebik,
http://on5au.be/content/a10/vhf/wu.html ]
4. 야기 안테나 사례
그림: Astron 220-6 6소자 야기 안테나. 215-225 MHz 9 dBi
그림: RFI YB815 700-850 MHz 15 dBi. 급전기로 루프 안테나 사용
그림: 17개의 지향기, 4개 와이어 코너 반사기를 이용한 야기 안테나 [Pinterest]
그림: 광대역 급전기와 지향기를 사용한 야기 안테나. Xtreme Signal HDB91X, 450-900 MHz, 13.5-23 dBi,
F/B 21-27.5 dB, V 60º H 60º, 51 x 222 x 52 cm
그림: 광대역 야기 안테나. MaxMost Moxa OnCell 5004 5104 HSPA 800-1900 MHz, 18 dBi
그림: 이중대역 야기 안테나. Cushcraft A270-10S, VHF 144-148 MHz, UHF 430-450 MHz, 10 dBd
그림: HF 대역 3소자 야기 안테나 Antenna Amplifiers PA14-3-6,
14-14.35 MHz, 7.2 dBi (free space), 11.7 dBi (20 m above ground)
그림: 다중 대역 야기 SP7GXP의 7중대역 야기 안테나. 7, 10, 14, 18, 21, 24, 28 MHz; 14-28 MHz 3소자, 7-10 MHz 2소자, 이득: 3.9 dBd @ 7 MHz,
4.1 dBd @ 10 MHz, 8.0-8.5 dBd
@ 14-28 MHz
III. 실습
A. Thin-wire Yagi
1. 안테나 치수 결정
- K7MEM 야기 안테나 설계 프로그램에 접속하여 아래와 같이 설정
http://www.k7mem.com/Electronic_Notebook/antennas/yagi_vhf.html
- 주파수: 700 MHz
- 이득: 12 dBd = 12 + 2.15 =
14.15 dBi
- Reflector spacing: 0.20 (DL6WU)
- Director element spacing: DL6WU spacing
- Boom type: Non-metallic boom
- Boom diameter: 0 mm
-
Driven element diameter: 8 mm
-
Parasitic element diameter: 8 mm
-
Design/Example Viewing: Metric
위와 같이 설정 후 [View The Design] 클릭하여 다음 그림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Boom은 비금속 직경 0 mm로 하였기 때문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림에는 있지만).
1. 700
MHz 12 dBd 야기 안테나 설계결과 제시
급전 다이폴 길이 대 파장: 200.6/428.6 = 0.467
급전 다이폴 길이대 직경비: 200.6/8 = 25
ㅇ 설계한 야기 안테나 특성해석: CST Studio 사용
- 좌표축: 야기 안테나 축 = z 축, 도선 축 = x 축과 평향
- 도선을 PEC 원통(내부가 꽉 찬)으로 하여 위에서 설계한 야기 안테나의 형상 생성
- 급전기 중간 급전용 간격: 8 mm 제거 (도선 직경과 동일)
2. 700
MHz 12 dBd 야기 안테나 형상 제시
3. |S11| (dB) 반사계수 도시: 400-1100 MHz, -30 dB to 0 dB
4. 700
MHz에서 Gabs 전계면 polar 패턴 그래프 제시: phi = 0º, theta = 변수, -35 dB to 15 dB
5. 700
MHz에서 Gabs 자계면 polar 패턴 그래프 제시: phi = 0º, theta = 변수, -35 dB to 15 dB
6. 700
MHz에서 설계한 야기 특성분석
최대이득 = ( ) dBi
전계면 빔폭 = ( )°
자계면 빔폭 = ( )°
전후방비 = ( ) dB
7. 주파수에 따른 이득 도시: 400-1000 MHz범위에서 50 MHz 간격으로,
수직축 0-20 dBi 범위
B. Thick-wire Yagi
ㅇ Thin-wire Yagi 안테나의 도선 직경을 8 mm에서 16 mm로 증가. 급전기 다이폴 갭은 8 mm 그대로
1. 반사계수 그래프 제시: - 400-1100 MHz, -30 dB to 0 dB
2. 주파수에 따른 이득 도시: 400-1000 MHz 범위에서 50 MHz 간격으로,
수직축 0-20 dBi 범위
IV. 실습 보고서
A. Thin-wire Yagi
1. 700 MHz 12 dB 야기 안테나 설계 결과 치수
2. 안테나 형상
3. 반사계수
4. 전계면 패턴
5. 자계면 패턴
6. 설계한 야기 안테나 특성분석:
- 최대이득 14.9dB
- 전계면빔폭 34.7deg
- 자계면빔폭 37.7deg
- 전후방비 14.9-(-2.1)=17dB
(g) 주파수에 따른 이득 도시
2. Thick-wire Yagi
(a) 반사계수 그래프 제시
(b) 주파수에 따른 이득 도시
실습-06 Yagi
1. Thin-wire Yagi
(a) 700MHz 12dB 야기 안테나 설계 결과 치수
(b) 700MHZ 12dB 야기 안테나 형상 제시
(c) 반사계수 그래프 제시
(d) 700MHz에서 전계면 패턴
(e) 700MHz에서 자계면 패턴
(f) 700MHz에서 특성분석
- 최대이득 14.9dB
- 전계면빔폭 34.7deg
- 자계면빔폭 37.7deg
- 전후방비 14.9-(-2.1)=17dB
(g) 주파수에 따른 이득 도시
2. Thick-wire Yagi
(a) 반사계수 그래프 제시
(b) 주파수에 따른 이득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