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선 급여계산기 (원단위 절사=버림)

'''

x1=월소득액

x0=비과세액

x2=x-x0

p1=국민연금=x2*0.045

p2=건강보험료=x2*0.03545

p3=장기요약보험료=x2*0.004591

p4=고용보험료=x2*0.009

p5=근로소득세(조견표이용)

p6=지방소득세=p5*0.1

psum=p1+...+p6

y1=x1-psum=근로자실수령액

q1=p1=국민연금 사용자부담액

q2=p2=건강보험료 사용자부담액

q3=p3=장기요양보험료 사용자부담액

q4=실업급여=x2*0.009

q5=고용안정=x2*0.0025

q6=산재보험=x2*0.072/1000

q7=퇴직금=x1/12

qsum=q1+...+q7

y2=사용자 월부담 총액

z=z1+qsum=근로자를 위해 지급되는 비용

'''

while True:

 name=input('근로자 성명=')

 age=int(input('근로자 나이=')) # 65 이상 미징수: 국민연금,고용보험,고용안정

 x1=int(input('x1(월소득액,)='))

 x0=int(input('x0(월소득액 비과세액,)='))

 p5=int(input('p5(근로소득세액, from 조견표)='))

 m=float(input('m(근로자 근무개월수)='))

 x2=x1-x0

 p1=int(x2*0.045/10)*10; p2=int(x2*0.03545/10)*10 # 10단위 절사

 p3=int(x2*0.004591/10)*10; p4=int(x2*0.009/10)*10

 p6=int(p5*0.1/10)*10

 if age>=65: p1=p4=0

 print('근로자: p1(국민연금),p2(건강보험),p3(장기요양보험)=',p1,p2,p3)

 print('근로자: p4(고용보험),p5(근로소득세),p6(지방소득세)=',p4,p5,p6)

 psum=p1+p2+p3+p4+p5+p6

 y1=x1-psum

 print('근로자: 공제액=',psum)

 print('근로자: 실수령액=',y1)

 q1=p1; q2=p2; q3=p3; q4=p4; q5=int(x2*0.0025/10)*10

 q6=int(x2*0.00723/10)*10; q7=int(x1/12/10)*10

 if age>=65: q5=0

 qsum=q1+q2+q3+q4+q5+q6

 print('사용자: q1(국민연금),q2(건강보험),q3(장기요양보험)=',q1,q2,q3)

 print('사용자: q4(실업급여),q5(고용안정),p6(산재보험)=',q4,q5,q6)

 print('사용자: 사용자 부담 4대보험료=',qsum)

 print('사용자: 퇴직금 적립=',q7)

 y2=qsum+q7

 print('사용자: 4대보험료+퇴직적립금=',y2)

 z=int(x1+y2)

 print('사용자: 근로자에게 들어가는 월총비용=',z)

 print('근로자: 지정기간 동안 총급여=',int(x1*m))

 print('근로자: 연봉=',x1*12)

 print('사용자: 지정기간 동안 총비용=',int(z*m))

 print('사용자: 연간 비용=',z*12)

근로자 성명=

KYM

x1(월소득액,)=

2800000

x0(월소득액 비과세액,)=

200000

p5(근로소득세액, from 조견표)=

39690

m(근로자 근무개월수)=

11

근로자: p1(국민연금),p2(건강보험),p3(장기요양보험)= 117000 92170 11930

근로자: p4(고용보험),p5(근로소득세),p6(지방소득세)= 23400 39690 3960

근로자: 공제액= 288150

근로자: 실수령액= 2511850.0

사용자: q1(국민연금),q2(건강보험),q3(장기요양보험)= 117000 92170 11930

사용자: q4(실업급여),q5(고용안정),p6(산재보험)= 23400 6500 18790

사용자: 사용자 부담 4대보험료= 269790

사용자: 퇴직금 적립금= 233330

사용자: 4대보험료+퇴직적립금= 503120

사용자: 근로자에게 들어가는 월총비용= 3303120

근로자: 지정기간 동안 총급여= 30800000

사용자: 지정기간 동안 총비용= 36334320

근로자: 연봉= 33600000

사용자: 연간 비용= 39637440

 


 

근로자 성명=

KSS

근로자 나이=

65

x1(월소득액,)=

3100000

x0(월소득액 비과세액,)=

200000

p5(근로소득세액, from 조견표)=

28480

m(근로자 근무개월수)=

10

근로자: p1(국민연금),p2(건강보험),p3(장기요양보험)= 0 102800 13310

근로자: p4(고용보험),p5(근로소득세),p6(지방소득세)= 0 28480 2840

근로자: 공제액= 147430

근로자: 실수령액= 2952570

사용자: q1(국민연금),q2(건강보험),q3(장기요양보험)= 0 102800 13310

사용자: q4(실업급여),q5(고용안정),p6(산재보험)= 0 0 20960

사용자: 사용자 부담 4대보험료= 137070

사용자: 퇴직금 적립금= 258330

사용자: 4대보험료+퇴직적립금= 395400

사용자: 근로자에게 들어가는 월총비용= 3495400

근로자: 지정기간 동안 총급여= 31000000

근로자: 연봉= 37200000

사용자: 지정기간 동안 총비용= 34954000

사용자: 연간 비용= 41944800